티스토리 뷰
길을 잘 모르는 나에게 자동차를 탈때 꼭 필요한건 바로 네비게이션이다. 그런데 어느날 보니 자동차의 계기판에 있는 속도와 네비게이션에 속도가 다르게 나와 당황한적이 있었다. 그래서 알아보니 자동차계기판은 바퀴의 부착된 센서로 회전수를 측정해서 타이어의 기준으로 속도를 측정하여 타이어를 바꾸거나 자동차가 노후되면 값의 오차가 생길 수도있다는걸 알게됬다.
그리고 네비게이션은 GPS와 위성이 1초단위로 움직이는 위치를 파악해서 속도를 계산해서 자동차가 노후되도 측정값이 바뀌지 않는다는걸 알게되고 이제 네비게이션의 속도를 보고 속도를 맞춰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문득 지금까지 자동차의 계기판을 보고 속도를 맞춘거같아 단속에 걸리지 않았는지 불안해졌다. 그래서 오늘은 과속 카메라 단속 기준과 단속거리등을 알아봤다.
도로에따른 단속규정
일반도로는 차량전용도로는 고속도로는
제한속도 60 단속규정 71 제한속도 90 단속기준은 106 제한속도 80 단속기준 102
제한속도 70 단속규정 85 제한속도 100 단속기준 122
제한속도 80 단속규정 95 제한속도 110 단속기준 132
제한속도 90 단속규정 105
신호위반과 속도위반을 했는지 또는과태료가 얼마인지 궁금하신 분들 또는 과태료와 범칙금등의 용어에대해 궁금하신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참고해주시면 될 것같습니다.
2020/09/25 - [분류 전체보기] - 신호위반 실시간조회 어플과태료조회
신호위반 실시간조회 어플과태료조회
도로위에서 운전자로써 해서는 안될 신호위반과 속도위반. 하지만 노랑불이길래 밟았더니 갑자기 빨간불이 되는 경우도 있고, 사람이기 때문에 가끔은 빨리가고 싶고 급한일이 생겨서 생각없��
abc.harucoco.com
단속카메라 종류
이동식카메라
항상고정된 위치해 있는 카메라가 아닌 설치를 하는 방식인 단속카메라로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자주보입니다. 이동식카메라는 레이저 주파수로 단속을 하기때문에 카메라와 멀리 떨어진 차량이 더 빨리 촬영됩니다.
고정식 카메라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에서도 흔히 발견할 수있는 카메라로 카메라가 설치되어있는 모든 차선은 2개의 센서가 감지되어 사각지대가 없고 센서를 지나갈때 과속을하게되면 사진이 찍히게 됩니다. 첫번째 센서는 카메라로 부터 최대60m전에 두번째 센서는 카메라에서 30m 앞에있습니다.
구간단속카메라
구간단속카메라는 말 그대로 구간을 정해서 단속을 하는 카메라로 주로 교통사고가 많이 나는 주변에 설치되어있습니다. 처음체크하는 부분과 마지막에 체크하는 부분의 속도를 평균으로 과속여부를 결정합니다.
신호위반 단속카메라
정지선앞에 있는 루프검지기와 적색신호에 차량이 전방의 검지기를 밟고 지나가면 번호판을 촬영하고 차량의 번호를 판독하는 카메라, 일정간격으로 촬영하는 보조 영상 수집용 카메라로 이루어져있는 신호위반 단속카메라 입니다.
도로에 따른 규정속도가 정해져있고 여러가지의 단속카메가있는 이유는 규정속도를 지켜야 사고발생 확률이 낮아지기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아무리 급하더라도 벌금내면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운전하지말고 항상 규정속도를 잘지켜서 안전운전하시길 바랍니다. 교통사고가 나면 나만 위험한게 아니라 그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차를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등의 많은 사람들에게 위협이 될 수있기때문에 꼭 안전운전을 하시는게 좋을 것같습니다. 오늘도 제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 즐거운 하루 되실길 바랍니다.